고요제이 덴노

덤프버전 : (♥ 0)

[ 펼치기 · 접기 ]
[[일본 신화|

전승
]]
초대제2대제3대제4대
제5대제6대제7대제8대
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
제13대제14대
[[고훈 시대|

고훈 시대
]]
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
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
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
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
제31대제32대
[[아스카 시대|

아스카 시대
]]
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
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
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
[[나라 시대|

나라 시대
]]
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
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
[[헤이안 시대|

헤이안 시대
]]
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
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
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
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
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
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
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
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
제82대
[[가마쿠라 시대|

가마쿠라 시대
]]
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
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
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
제94대제95대제96대
[[남북조시대(일본)|

남조
]]
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
[[무로마치 시대|

무로마치 시대
]]
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
제104대제105대제106대
[[아즈치모모야마 시대|

아즈치모모야마 시대
]]
제106대제107대
[[에도 시대|

에도 시대
]]
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
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
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
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
근현대
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
제126대




고요제이 덴노 관련 틀
[ 펼치기 · 접기 ]

파일:일본 상황기.svg
상황
[ 펼치기 · 접기 ]
>>>>>>>>
[[아스카 시대|

아스카 시대
]]
제35대
제41대
제43대
[[나라 시대|

나라 시대
]]
제44대
제45대
[[헤이안 시대|

헤이안 시대
]]
제46대
제49대
제51대
제52대
제53대
제56대
제57대
제59대
제61대
제63대
제64대
제65대
제66대
제67대
제69대
제71대
{{{-3 제72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{{{-3 제74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75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77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제78대
제79대
{{{-3 제80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[[가마쿠라 시대|

가마쿠라 시대
]]
{{{-3 제82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제83대
제84대
{{{-3 추존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86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{{{-3 제88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89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90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91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92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{{{-3 제93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제95대
[[남북조시대(일본)|>

남조
]]
제96대
{{{-3 제98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제99대
[[남북조시대(일본)|

북조
]]
{{{-3 북조 초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북조 제2대
{{{-3 북조 제3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북조 제4대
{{{-3 북조 제5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[[무로마치 시대|

무로마치 시대
]]
{{{-3 제100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추존
{{{-3 제102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[[아즈치모모야마 시대|

아즈치모모야마 시대
]]
제106대
추존
[[에도 시대|

에도 시대
]]
제107대
{{{-3 제108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제109대
제111대
{{{-3 제112대 [[인세이|
인세이
]]
{{{-3 제113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제114대
{{{-3 제115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제117대
{{{-3 제119대 [[인세이|>
인세이
]]
[[일본|

현대
]]
제125대





일본 제107대 천황
고요제이 덴노
後陽成天皇
파일:1280px-Emperor_Go-Yōzei2.jpg
출생1571년 12월 31일
야마시로국 교토 교토 어소
(現 교토부 교토시)
사망1617년 9월 25일 (향년 46세)
야마시로국 교토 다이리 키타고쇼
(現 교토부 교토시)
능묘후카쿠사북릉(深草北陵(심초북릉)
재위기간제107대 천황
1586년 12월 17일 ~ 1611년 5월 9일
일본 상황
1611년 5월 9일 ~ 1617년 9월 25일
[ 펼치기 · 접기 ]
카즈히토(和仁(화인) → 가타히토(周仁(주인)
부모부황 사네히토 친왕
모후 후지와라 하루코
형제자매8남 6녀 중 장남
배우자고노에 마에코
자녀13남 12녀
종교불교
아명차치마루(茶地丸(차지환)
원호고요제이인(後陽成院(후양성원)
시호고요제이 덴노(後陽成天皇(후양성천황)
연호덴쇼(天正(천정, 1586년 ~ 1592년)
분로쿠(文祿(문록, 1592년 ~ 1596년)
게이초(慶長(경장, 1596년 ~ 1611년)

1. 개요
2. 생애
3. 기타



1. 개요[편집]


일본의 제107대 천황.

에도 막부의 첫 번째 천황이었으며, 임진왜란 당시 천황이기도 했다. 원래 이름은 가즈히토(和仁)였지만, 후에 가타히토(周仁)로 고쳤다. 오기마치 덴노의 황태자 사네히토 친왕(誠仁親王)의 아들로, 고요제이 덴노는 즉위한 후 아버지를 요코 덴노로 추존했다.


2. 생애[편집]


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분로쿠(文禄) 2년(1593), 조선에서 약탈해 온 금속활자와 활자인쇄본 서적을 고요제이 천황에게 바쳤다. 천황은 그해 구게(공경)인 로쿠조 아리히로(六条有広, 1564 ~ 1616), 니시도인 도키요시(西洞院時慶, 1552 ~ 1640) 등에게 명령해 그 기술을 사용, 《고문효교》(古文孝教)[1]를 인쇄하도록 했다{분로쿠칙판(文禄勅版)}. 이는 일본에서 금속활자를 사용한 최초의 인쇄 작업이었다. 또한 게이초(慶長) 2년(1597)에 조선 활자를 모방한 대형 목활자(木活字)를 제작해 《금수단》(錦繍段)을 개판하게 했다{게이초칙판(慶長勅版)}. 역으로 말하자면 한국사에서는 고려시대 때 개발된 금속활자가 이때까지도 일본 열도에는 없었다는 소리가 된다.

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고 천하의 운명을 건 세키가하라 전투가 일어나자 단고(丹後)의 타노베 성(田辺城)[2]에서 서군(西軍)과 교전 중이던 호소카와 유사이를 아껴서 양군에게 칙령으로 성을 열 것을 명령했다. 게이초 8년(1603)에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세이이다이쇼군(정이대장군)으로 임명했고, 이로써 역사상 세 번째 막부이자 가장 안정적이었던 에도 막부가 개창되었다. 조정의 권위를 억압하려는 도쿠가와 막부는 교토 조정에 대한 간섭을 강화해, 조정이 갖고 있었던 관위서임권이나 연호 개원(改元)까지도 막부가 가져왔다. 게이초 14년(1609)에 궁중에서 여관(女官)의 밀통사건{이노쿠마 사건(猪熊事件, 체웅사건)#}이 일어나자 에도 막부는 교토 쇼시다이(京都所司代, 경도소사대)에 명령해 엄벌을 요청했다.

고요제이 덴노는 히데요시의 강권으로 제1황자였던 요시히토 친왕(良仁親王)을 차기 계승자로 삼았지만, 히데요시가 죽자 이를 꺼려 동생인 도모히토 친왕(智仁親王, 1579 ~ 1629)에게 양위하기를 바랬고, 조정 신료들이나 쇼군 이에야스는 이를 반대했다. 세키가하라 전투 뒤, 고요제이 천황은 이에야스의 동의를 얻어 요시히토 친왕을 강제로 닌나지(仁和寺)[3]에 출가시키고, 제3황자인 마사히토 친왕을 황태자로 세웠다. 게이초 16년(1611)에 마사히토 친왕(훗날의 고미즈노오 덴노)에 양위하고, 센도고쇼(仙洞御所, 선동어소)로 물러났다. 그러나 고미즈노오 덴노는 상황의 처소에 좀처럼 찾아가지 않는 등 덴노와 상황 두 부자는 오랫동안 불화 상태였다고 한다.

겐나(元和) 3년(1617)에 47세로 붕어했다. 시신은 화장되었는데, 이후로 현대의 쇼와 덴노에 이르기까지 역대 덴노들은 모두 매장되었으므로, 화장으로써 장례를 치른 마지막 덴노로 기록된다.

3. 기타[편집]


유학국학에 매우 능해서 《겐지모노가타리》, 《이세모노가타리》, 《구간쇼》를 지었다고 하며 《일본서기》를 게이초칙판으로 발행하기도 했다.

도요토미 히데츠구가 참혹하게 죽은 후에, 히데츠구의 어머니를 위로하고자 '즈이류인'(瑞龍院, 서룡원)이란 원호를 내렸으므로 히데츠구와의 사이는 나쁘지 않았던 듯하다.

파일:고요제이 칙서.png
임진왜란이 일어났던 당시의 덴노이기도 하다. 그래서 일본에선 임진왜란/정유재란을 덴노의 연호를 따서 각각 분로쿠의 역(문록의 역, 文禄の役), 게이초의 역(경장의 역, 慶長の役)이라고 부른다. 정작 덴노 본인은 히데요시에게 조선으로 건너가지 말 것을 당부하는 서신을 보냈는데, 씹혔다(...).[4] 이 어명을 담은 친필 문서 원본이 교토국립박물관에 남아 있다.#

《사명대사전》에서는 풍신수길을 앞세워 조선을 침공했다며 사명대사에게 농락당하는 신세로 나온다. 조선의 민간인들은 일본도 조선처럼 군주가 실권을 쥔 나라인 것으로 오해했기 때문에 그려진 잘못된 묘사였다.[5] 오히려 고요제이 덴노는 임진왜란을 반대하는 인물이었다.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12 20:29:22에 나무위키 고요제이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[1]효경》의 훈점본[2] 교토부 마이즈루시에 있는 윤곽식 평성으로 훗날 에도 시대때 타나베 번의 번청으로 사용했지만 여러가지의 이유로 공원이 되었다.[3] 교토시 우쿄구 오무로오우치에 있는 진언종어실파의 총본산 사원[4] 그러나 이런 전적에도 불구하고 제국 시기의 일본은 히데요시가 고요제이 덴노를 수호했다며 빨아주었다.[5] 다만 조선 조정에서는 천황이 허수아비라는 것은 알고 있었다. 《조선왕조실록》의 왕과 신하들의 회의를 보면 일본 천황은 수백년째 허수아비이고, 실권은 쇼군이나 칸파쿠(관백) 등의 신하가 쥐고 있다는 것 정도는 인지하고 있었다. 그런 사정을 잘 모르는 민간인이 쓴 소설에서나 오해한 것이다. 아이러니하게도 같은 민간인 출신으로서 권력을 잡은 히데요시 역시도 비슷한 오류를 저지른 바 있다.